본문 바로가기

수익률3

‘수익률’, ‘복리’, ‘리스크’ – 투자할 때 꼭 아는 기초 금융 용어 3가지 ‘수익률’, ‘복리’, ‘리스크’ – 투자할 때 꼭 아는 기초 금융 용어 3가지 복리, 수익률, 리스크. 이 세 가지를 알면 금융의 절반은 이해한 셈이다.– 존 C. 보글 (Vanguard 창립자) 금융, 투자 이야기를 들으면 낯선 용어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수익률’, ‘복리’, ‘리스크’는 가장 핵심적인 단어입니다. 이 세 가지 개념을 알면, 투자라는 퍼즐의 큰 그림이 보이기 시작하고, 관점이 바뀝니다. 1. 수익률 – 얼마를 벌었는지 보여주는 숫자수익률(ROI: Return on Investment)은 '내가 투자한 돈이 얼마나 늘었는가'를 퍼센트(%)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예시: 100만 원 투자해서 110만 원이 되었다면 수익률은 10%계산: (현재 가치 - 투자 원.. 2025. 6. 20.
SCHD 리밸런싱 주기와 전략 SCHD 리밸런싱 주기와 전략 요약: SCHD는 매년 1회 리밸런싱을 통해 퀄리티 높은 배당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성합니다. 주기와 구성 전략을 이해하면 장기 수익률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ETF의 핵심은 리밸런싱입니다. 특히 SCHD(Schwab U.S. Dividend Equity ETF)는 고배당 ETF임에도 매년 1회 정기적인 리밸런싱을 시행하며, 종목 변경 폭이 꽤 큽니다.1. SCHD의 리밸런싱 주기: 매년 3월SCHD는 매년 3월 정기 리밸런싱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합니다. 기준일은 대개 3월 초이며, 이 시점에 새롭게 선정된 종목이 기존 종목을 대체합니다.2. 리밸런싱 기준은 무엇인가?SCHD는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를 추종하며, 다음과 같은 기.. 2025. 6. 3.
채권 가격은 왜 오르고 내릴까? - 채권 수익률은 어떻게 계산할까? 채권에 투자할 때 많은 사람들이 '이자를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에만 주목합니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채권의 수익률이 얼마인지, 어떻게 계산되는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명목수익률부터 만기수익률, 실질수익률까지 핵심 개념을 살펴보겠습니다.1. 채권 수익률의 기본 개념채권 수익률이란 채권에 투자했을 때 발생하는 수익의 비율입니다. 단순히 매년 받는 이자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매입 가격과 만기까지의 총수익을 모두 포함합니다. 수익률은 투자 판단의 핵심 기준으로 작용합니다.2. 명목수익률(Nominal Yield)이란?명목수익률은 가장 기본적인 수익률로, 채권의 액면가에 대한 연간 이자의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 1,000만 원에 연 50만 원의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의 명목수익률은 5%입니.. 2025. 5. 29.

📚 이 시리즈 전체 보기:
👉 채권 투자 시리즈 바로가기
👉 ETF 분석 시리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