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Story14

DART(다트) 우주선과 소행성 충돌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기 위한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에서 쏘아 올린 우주선이 소행성과 충돌했습니다. JWST와 허블 우주 망원경이 지난 26일 오후 7시 14분쯤 지구에서 1,100만 km 떨어진 목성 인근에서 쌍둥이 소행성 경로 변경 실험(DART) 우주선이 디디모스(Didymos) 소행성의 위성 디모르 포스(Dirmophos)에 충돌하는 장면을 촬영했다고 밝혔습니다. 물리적 충격으로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한 실험이었는데 최초의 지구 방위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디모르 포스의 지름은 약 160m 정도로 만일 지구와 충돌한다면 대도시가 초토화될 정도의 크기라고 합니다. 나사(NASA)의 소행성 관리 나사(NASA)는 지구의 3000만 마일 이내로 접근하는.. 2022. 10. 1.
다누리호 발사로 우주강국으로 도약 다누리호 발사 대한민국의 첫 번째 달 탐사용 궤도선 '다누리(KPLO -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가 달을 향한 여정에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한국시간으로 5일 오전 8시 8분(미 동부시간 4일 오후 7시 8분) 즈음에 우주로 발사된 것입니다. 다누리호 발사 장소 다누리호는 지난 3일 밤 10시 15분쯤 미국 민간 우주개발업체인 스페이스 X의 팰컨 9과 결합하였고, 다누리가 실려있는 팰컨 9 발사체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중 40번 발사대에서 발사하였습니다.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은 케네디 우주센터를 상징하는 건물로 미국 항공 우주국 '나사'의 로켓 조립동이 있고, 아폴로 계획의 새턴 로켓과 우주 왕복선이 이곳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2. 8. 5.
최근의 JWST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허블 우주망원경 쉽게 알아보기 우주에서 역사적인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30년간 우주를 관측했던 허블 우주망원경이 은퇴하고 새로운 임무를 띤 제임스 웨브 우주망원경(JWST)이 첫 우주 사진이 공개된 것이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허블 우주망원경이 지구 상공 약 600 km 궤도를 돌며 우주를 관측하였다면, 제임스 웨브 우주 망원경은 지구에서 약 150만km 떨어진 라그랑주 L2 지점에서 관측합니다. 그 성능이 허블 우주망원경보다 100배나 좋다고 하죠. 제임스 웨브 우주망원경은 1990년부터 30년간 우주를 관측했던 허블 우주망원경을 대체하기 위해 탄생하였는데, 1996년 우주 관측 프로젝트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 유럽 우주청(ESA), 캐나다 우주청(CSA)이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본래 2007년에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여.. 2022. 7. 13.
인류에 대한 학문 인간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을 연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의 범위와 대상이 굉장히 광범위한 것입니다. 19세기 이후에서야 체계화가 되었고, 유럽과 미국에서 각각 서로 다른 관심을 가지고 발전되어 왔습니다. 오늘날에는 보다 전문적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인류학의 하위 학문에는 고고학, 문화인류학, 형질인류학 등이 있는데, 고고학은 선사시대와 같은 오래된 인류의 유적을 연구하여 당시 상황의 문화를 규명 짓는 것을 주요한 연구 분야로 삼고 있습니다. 문화인류학은 다양하게 존재하는 여러 문화에 대해서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것입니다. 석기를 사용하는 문화에서 현대 산업사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에 이르기까지 가족, 친족, 경제생활, 종교 생활, 정치 생활 등과 같은 여러 문화적 생활을 연구하여 해당하는 사회의 .. 2022.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