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Story

다누리호 발사로 우주강국으로 도약

by 위드12 2022. 8. 5.
반응형

다누리호 발사

대한민국의 첫 번째 달 탐사용 궤도선 '다누리(KPLO -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가  달을 향한 여정에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한국시간으로 5일 오전 8시 8분(미 동부시간 4일 오후 7시 8분) 즈음에 우주로 발사된 것입니다.

 

다누리호 발사

 

 

다누리호 발사 장소

다누리호는 지난 3일 밤 10시 15분쯤 미국 민간 우주개발업체인 스페이스 X의 팰컨 9과 결합하였고, 다누리가 실려있는 팰컨 9 발사체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중 40번 발사대에서 발사하였습니다.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은 케네디 우주센터를 상징하는 건물로 미국 항공 우주국 '나사'의 로켓 조립동이 있고, 아폴로 계획의 새턴 로켓과 우주 왕복선이 이곳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안선을 따라 로켓 발사대가 줄지어 있기에 '스페이스 코스트(우주 해변)'라고 불리며, 팰컨 9 로켓은 40번 발사대를 이용한 것입니다.

이곳은 북위 28.29도, 서경 80.34도에 위치해 있으며 적도에서 가까운 곳에서 발사할수록 지구 자전 속도를 이용하여 연료 소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미국 안에서 적도와 가장 근접한 발사장이기도 합니다.

 

 

 

다누리의 의미와 성과

다누리는 '달'과 '누리다'가 합쳐진 이름으로 달을 남김없이 모두 누리고 오기를 기원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국민 공모를 통해 다가온, 다누리, 다래 온, 다산, 달 마루지, 달마 주, 달 수리, 미리온, 별마루, 최순달 등 10개 후보 이름 중에서 5월에 '다누리'로 결정한 것입니다.

발사에 성공한 다누리가 연말쯤 되어 달 궤도에 진입하게 되면 러시아, 미국,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인도에 이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7번째 달 탐사국이 됩니다.

다누리에는 미 항공우주국 나사의 음영 카메라도 설치되어 있는데, 2025년 유인 달 탐사선을 발사하려는 미국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와도 연계되어 있습니다. 음영 카메라는 태양빛을 받은 적이 없는 달의 극지방에서 얼음을 찾아낼 수 있기 때문에 다누리 발사의 성공은 미국의 입장에서도 중요한 것입니다.

6월 21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2)의 성공에 이어 다누리호 발사가 연말에 이르러 성공하게 되면 2022년은 대한민국 '우주강국'의 원년이 된다고 합니다.

 

 

 

 

다누리호 궤도

다누리는 발사 후 250km 상공에서 궤도 비행 후 로켓 분리로 발생하는 추진력을 이용하여 지구와 달과 태양의 중력을 이용하여 달 궤도에 진입시키는 BLT궤적에 진입합니다.

약 4개월 반 가량의 비행을 거쳐 올해 12월 말 즈음에 달 상공 100km 궤도에 진입하게 됩니다.

모든 것이 성공하게 된다면 다누리는 1년 동안 매일 12바퀴씩 달 궤도를 돌며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다누리호 탑재체

  • 고행상도 카메라(LUTI) : 최대 해상도 5m, 위치오차 225m 이하로 달 표면을 관측하며 2030년까지 달 착륙선이 착륙할 위치를 탐색합니다.
  • 광시야 편광 카메라(PolCam) : 100m급의 해상도로 달 표면 편광 영상을 통해 우주의 풍화작용을 연구하고, 티타늄 지도로 달 표면의 지질연구와 자원 탐사를 합니다.
  • 자기장 측정기(KMAG) : 달 주위 미세 자기장을 측정하여 자기의 이상 지역과 달 우주 환경을 연구합니다.
  • 감마선 분광기(KGRS) : 달 표면의 감마선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달의 원소지도를 제작에 기여합니다.
  • 우주 인터넷(DTN) 검증기 : 지구와 달 궤도선 간의 우주 인터넷 통신기술 검증과 메시지 및 파일 전송을 시험합니다.
  • 섀도 캠(Shadow Cam) : 미 NASA가 개발한 것으로 음영지역에 대한 고해상도 촬영이 가능하여 얼음이 존재할 만한 달의 극지방을 촬영하게 됩니다.

 

이상으로 우주로 쏘아올린 다누리호 발사를 다뤄보았습니다. 수준높은 국내 연구진들 연구 성과와 더불어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우리나라가 되기를 기원하며,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관련 글

최근의 JWST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허블 우주망원경 쉽게 알아보기

 

 

 

반응형

댓글